제넨셀이 개발한 천연물 기반 후보물질 'ES16001'이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제넨셀에 대주주로 있는 세종메디칼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분석 들어갑니다.
차트는 참고용으로만 보세요 진짜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실적과 재무제표 및 성장성입니다.
기업이 실적이 있고 성장성이 있으면 차트는 당연히 따라옵니다.
그리고 너무 테마주나 재료에 편승한 주식을 매매하지 마세요..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
▣ 일봉차트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주봉차트
주봉에 거래량은 중요합니다. 세력들이 다른 것은 다 숨길수 있어도 거래량은 속일 수 없기 때문에 그 표시가 주봉에서 나타납니다.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월봉차트
장기 투자하시는 분은 월봉차트도 중요합니다.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재무제표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동종업종 비교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최근 1개월 외국인, 기관 매매동향 거래량
단타를 하시는 분이면 최근에 큰손이라고 할 수 있는 기관과 외국인에 거래량이 중요합니다.
주가가 단기간에 성장할지 안 할지는 최근 거래량이 모든 것을 말하기도 하거든요.
(모바일에서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 1개월 매매동향 | 기관 투자 1개월 매매동향 |
![]() |
![]() |
모바일에서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뉴스 공시
호재성 뉴스는 주가를 순식간에 올리기도 하고 악재성 뉴스는 순식간에 떨어트리기도 합니다.
진짜 실력자들은 호재성 뉴스보다 악재성 뉴스에 투자를 해서 이익을 봅니다.
악재성 뉴스가 단순한 해프닝이거나 회사가 컨트롤 할 수 있는 문제라면 고수들은 투자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남들이 팔 때 사고 남들이 살 때 팔고 수익 실현을 하지요.. 이점 명심하고 뉴스는 단편으로 보시지 마시고 연관관계를 생각해서 추리해서 보시면 주가의 흐름도 보실 수 있습니다.
제목 | 정보제공 | 날짜 |
[주식초고수는 지금] 오미크론 확산에 치료제 관련주 강세...세종메디칼... | 서울경제 | 2021.12.27 11:14 |
[특징주]세종메디칼, 제넨셀 치료제 오미크론 퇴치 탁월…결합 에너지 강... | 아시아경제 | 2021.12.27 09:52 |
세종메디칼, 제넨셀과 협력한 코로나19 치료제 효과 소식에 상한가 | 조선비즈 | 2021.12.08 15:03 |
세종메디칼 급등…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개발 기대감 | 머니투데이 | 2021.12.01 09:28 |
세종메디칼, 200억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 | 헤럴드경제 | 2021.11.29 15:23 |
세종메디칼, 세계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 2021’ 참가 | 아시아경제 | 2021.11.09 12:48 |
제넨셀·세종메디칼·한국파마, 코로나 치료제 상용화 MOU…약가 경쟁력 ... | 아시아경제 | 2021.11.08 12:55 |
세종메디칼, 세계 3대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 2021' 참가 | 한국경제 | 2021.11.05 13:44 |
장내에서 상장 지분 절반 가량이 매도?…세종메디칼 주요주주의 이례적 대... | 헤럴드경제 | 2021.11.04 15:18 |
[특징주] 세종메디칼, 세계최초 천연 경구용 코로나치료제 내년 출시소식... | 헤럴드경제 |
▣ 주주현황
보통 대주주의 지분이 높은 회사는 주가가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유동성이 많은 회사의 주식은 조금 한 악재라도 주가가 금방 떨어지기 마련이죠.
물론 대형주 같은 경우(현대, 삼성, LG, SK)는 대주주 지분이 적기는 하지만 그래도 다른 기관이나 외국인.
국내 투자자들이 쉽게 팔지는 않아서 유동성이 다른 주식보다 낮으니 참고 부탁드려요.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기업개요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동사는 2010년 8월 3일에 설립되어 의료용 기기(복강경 수술 기구 등) 제조 및 조립업을 영위하고 있음.
- 동사는 Trocar를 비롯한 다양한 수술 기구 개발 및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복강경 수술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
- 복강경수술 기구인 LapSingle Plus는 로봇수술 발전과 함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회용 생체검사용 도구인 LapBag는 국내 의료현장에서 고유명사처럼 사용됨.
▣ 투자의견 컨센서스
투자사 및 증권사에 최근3개월 이내에 제시된 의견이 없습니다.
▣ 최근연혁
(모바일에서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주요 매출구성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연구개발비 지출현황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직원 인원 현황 및 평균연봉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신용등급 및 자본금 변동내역
(모바일에서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관련 관계사 및 연결대상회사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섹터분석
(모바일에서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최근 금감원 공시
금감원 공시는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꼭 봐야 합니다.
힘들게 벌어서 기업분석도 제대로 안 하고 투자한다면 그야말로 그것은 투기입니다.
공시 하나만 제대로 봐도 이 회사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미래비전은 있는지 회사 오너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대충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꼭 보시길 바랍니다.
(토,일요일 금감원 사이트가 업데이트 관계로 안 열릴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번호 | 공시대상회사 | 보고서명 | 제출인 | 접수일자 | 비고 |
1 | 코 세종메디칼 | 현금ㆍ현물배당을위한주주명부폐쇄(기준일)결정 | 세종메디칼 | 2021.12.16 | 코 |
2 | 코 세종메디칼 | 주주명부폐쇄기간또는기준일설정 | 세종메디칼 | 2021.12.16 | 코 |
3 | 코 세종메디칼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메리츠증권 | 2021.12.03 | |
4 | 코 세종메디칼 |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 세종메디칼 | 2021.11.30 | |
5 | 코 세종메디칼 | 분기보고서 (2021.09) | 세종메디칼 | 2021.11.12 | |
6 | 코 세종메디칼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에이치바이오조합1 | 2021.11.10 | |
7 | 코 세종메디칼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뉴하라19호투자조합 | 2021.11.10 | |
8 | 코 세종메디칼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 조성환 | 2021.11.08 | |
9 | 코 세종메디칼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엠오비컨소시엄조합 | 2021.11.02 | |
10 | 코 세종메디칼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 엠오비컨소시엄조합 | 2021.11.02 | |
11 | 코 세종메디칼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21-13호 마사 신기술조합 제44호 | 2021.11.02 | |
12 | 코 세종메디칼 |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약식) | 비엠씨컨소시엄 조합 | 2021.11.02 | |
13 | 코 세종메디칼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 21-13호 마사 신기술조합 제44호 | 2021.11.02 | |
14 | 코 세종메디칼 | 주요사항보고서(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수결정) | 세종메디칼 | 2021.10.20 | |
15 | 코 세종메디칼 | 주권관련사채권의취득결정 | 세종메디칼 | 2021.10.19 | 코 |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해당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해당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복강경 수술용 기구를 포함한 의료기기를 생산, 판매하는 전문업체로서, 주요제품으로 일회용 투관침, 일회용 수동식 의료용 개창기구 등 각 종류별 다양한 규격 및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 매출액의 10%이상을 차지하는 제품으로는 Trocar와 Lap bag이 있으며 마케팅 대행(CSO)를 통해 병원, 대리점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종속회사로는 골밀도진단기기 제조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는 (주)요즈마비엠텍과 금융투자업 및 투자컨설팅을 주요사업으로하는 (주)에스제이벤처투자가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업의 내용"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복강경 수술용 기구를 포함한 의료기기를 생산·판매하는 전문업체로서, 1996년 세종기업으로 출발하여 30여년간 수입 의료기기 제품이 독차지했던 한국의 복강경시장을 당사에서 생산하는 국산제품으로 대체하면서 국산 복강경수술용 기구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주요제품으로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일회용 투관침(Trocar), 복강경용 장기적출주머니(Specimen Retrieval Bag), 일외용 흡수성 봉합사 의료용 봉합기(Suture Loop), 일회용 단일공 개창기구(Single Port), 일회용 내시경수술용 세척 및 소작기(Suction & Irrigation Electrode) 등 여러 제품이 있으며, 각 종류별로 다양한 규격 및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그 동안 쌓아온 기술과 노하우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전세계20여개 국가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 이래로 GMP인증, ISO인증, 유럽의 CE인증, 일본의 JFDA 인증 취득 등을 비롯하여 복강경 수술등과 관련된 80건 이상의 지적재산권을 출원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매년 매출액의 8% 이상을 투자하여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고, 진단연구소를 통하여 진단기기 시장에도 새롭게 진출하고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 수술에 비해 환자의 통증이 덜하고, 수술의 부작용이 적으며, 감염 확률 또한 낮아 환자의 회복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조기에 일상업무 복귀가 가능할 뿐 아니라 수술 후 흉터가 거의 남지 않아 미용상의 장점 또한 가지고 있어 그 적용 범위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당사가 제조하는 복강경 수술용 기구들은 수술기구를 통한 감염을 막기위하여 고안된 일회용의료기기이므로 재활용이 불가하여 복강경 시술 횟수만큼 수요가 꾸준히 발생합니다.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의 범위가 확대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복강경 수술기구의 수요와 의료 현장에서의 요구사항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기구의 특성상 품질 유지가 중요하여 디자인, 설계는 물론 금형설계, 금형제작, 조립, 멸균 등 모든 제조과정을 외주가 아닌 당사 내에서 소화하고 있으며 고가의 사출장비를 소재별로 각기 운영하는 등 안정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생산시설의 구상단계부터 경쟁사들과는 차별화 된 설비와 시스템을 갖춰 비교우위를 만들어 낸 이러한 원스톱 생산시스템은 의료 현장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제품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병원, 또는 대리점 등 수요처에 납품하여 매출을 도출하고 있으며, 시장 확대와 더욱 경쟁력 있는 영업을 위하여 기존의 대리점을 통한 영업 외에 마케팅 대행사(CSO)를 통한 새로운 영업 루트를 개척하여 매출 증대에 힘쓰고 있습니다. 매출실적으로는 주요제품(Trocar, Lap bag, Lap loop) 매출이 약 70%, 그 외 기타매출이 약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기 산업은 타 사업에 비해 계절적 수요의 변동이나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수술용 기구의 경우 특성상 안정적인 수요의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 등 원료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건강보험 재정 악화로 인한 일괄 약가인하 등과 같은 정부의 정책변화 등에 따라 당사의 매출 및 수익구조에 일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 주요제품 라인업 및 기능
당사의 제품 종류에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일회용 투관침, 일회용 수동식 의료용개창기구, 일회용 생체검사용 도구 한 벌, 일회용 흡수성 봉합사 의료용 봉합기 외에도 여러 제품이 있으며, 각 종류별로 다양한 규격 및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일회용 투관침(Trocar) - Laport® Series / Mini Port™/ U-Flex™
Trocar는 복강경 수술기구가 환자의 체내외로 드나들 수 있는 채널 역할을 하는 기구이며, 당사의 제품은 일회용 제품입니다. 크게 투침과 투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투침은 환자의 복벽을 뚫어 투관이 환자의 복벽을 투과하여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투관은 복강경수술을 위해 복강 내에 주입한 이산화탄소가 환자의 체외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해야 하며, 수술기구들이 원활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수술집도의가 원하는 시술을 잘 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합니다.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기구의 직경의 크기, Blade의 유무, 내시경 카메라 사용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과 모델이 있습니다.
2) 일회용 수동식 의료용 개창기구(Single Port) - LapSingle™/ LapSingle Plus™
Single Port는 기존의 복강경 수술에서 환자의 복벽에 투관침을 꽂기 위한 5mm~1cm의 절개창을 3~4개 내어 수술하는 것과 달리, 배꼽을 통해 2~3cm의 절개창 하나를 통하여 여러 개의 복강경 수술 기구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기구입니다. 절개창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복강경수술 후의 흉터가 배꼽안으로 들어가게 되거나 배꼽에 걸쳐 아주 작은 상처가 남기 때문에 미용적인 효과가 좋고, 절개창의 개수가 적어 통증이 최소화되며, 감염 위험 상대적으로 낮아 관심이 높아진 수술 방법입니다. Single Port는 여러 수술기구들이 한꺼번에 들어가는 특수한 통로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LapSingle Plus는 최근 Robot 수술이 발전과 더불어 그 용도와 활용 폭이 넒어져 더더욱 그 관심과 인기가 높아진 복강경수술 기구 입니다.
3) 일회용 생체검사용 도구 한 벌(Specimen Retrieval Bag) - LapBag™
LapBag은 복강경 수술 중 제거하는 용종, 종양 등을 체외에 적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수술 중 종양의 기타 장기에의 체내 전이를 막고, 용이하게 체외로 적출하여 병변의 사후 검사 시에 보다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도록 도와줍니다. Trocar를 통해 원활히 삽입되어야 하고, 환자의 복강 내에서 안전하고 쉽게 주머니가 열리고 닫히는 기능이 작동해야 합니다. 당사의 LapBag은 국내의 의료 현장에서의 높은 인기에 힘입어 브랜드/제품명을 넘어서 해당 제품류의 고유명사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4) 일회용 흡수성 봉합사 의료용 봉합기 (Suture) - LapLoop™
LapLoop는 복강경 수술 시, 절제한 장기나 혈관을 봉합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기구입니다. 당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체내에서 녹는 실 타입이며, 그 봉합사의 형태에 따라 올가미 타입, 오픈 타입 등이 있습니다.
5) 일회용 손조절식 전기수술기용 전극/ 범용 주입-배액용 튜브 카테터 - LAP-iX™
LAP-iX는 복강경 수술 시, 흡인관을 통해 상기도 내의 분비물, 소화관 내 및 체강내의 혈액, 삼출액, 가스등을 체외로 배출 시키는 Suction 기능과 창상부(創傷部)의 표면을 물이나 약액으로 씻어내는 Irrigation 기능을 하나에 제품에 합치고, 여기에 복강경 수술 시 절개 및 지혈이 가능하게 하는 수술용 전극 장치가 추가된 기구 입니다. 당사의 제품은 크게 기능적으로 Suction과 Irrigation 으로 이루어진 S/I only 모델과 여기에 수술용 전극 장치가 추가된 Electrode 모델이 있으며, 또 여기에 시술자의 용도와 사용 방법, 사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고안된 손잡이의 모양에 따라 피스톨 타입과 트럼팻 타입 등으로 나뉩니다.
6) 자궁거상기 - BUMI
BUMI는 부인과 복강경 수술을 보다 원활히 하는데 필요한 기구이며, 일회용 제품입니다. 부인과 복강경 수술 시, 자궁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기구이며 특히 전자궁절제술에 매우 유효한 제품입니다. 또한 부인과 뿐만 아니라 자궁 주변의 장기를 수술할 시에 수술 경로 상에 자궁이 위치하여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병변이 발생한 장기 수술 중에 자궁에 부수적인 피해가 발생할 리스크를 줄여주어, 수술기구들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복강경수술을 위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수술 집도의가 원하는 시술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자궁 경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이 있습니다.
나. 주요제품 매출 현황
(단위: 천원) |
구분 | 구체적 용도 | 2021년(제12기 3분기) | 2020년(제11기) | 2019년(제10기)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Trocar | 복강경 수술기구가 환자의 체내외로 드나들 수 있는 채널 역할을 하는 투관침 |
4,570,083 | 34.36% | 5,919,800 | 39.21% | 8,040,373 | 49.54% |
LabBag | 복강경 수술 중 제거하는 용종, 종양 등을 체외에 적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 |
2,943,899 | 22.13% | 3,707,964 | 24.56% | 4,424,077 | 27.26% |
LabLoop | 복강경 수술 시, 절제한 장기나 혈관을 봉합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기구 |
847,957 | 6.38% | 1,039,662 | 6.89% | 1,107,312 | 6.82% |
기타 | 4,937,889 | 37.13% | 4,430,191 | 29.34% | 2,658,186 | 16.38% | |
합계 | 13,299,828 | 100.00% | 15,097,617 | 100.00% | 16,229,948 | 100.00% |
(*) 연결실적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다.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당사의 제품가격은 제조원가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을 모두 고려하여 책정합니다.특히, 급여품목인 경우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심평원")이 고시한 가격과 대리점과의 단가등을 고려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당사의 중요한 영업상 기밀에 속하므로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매출에 관한 사항
(1) 매출실적
(단위: 천원) |
매출유형 | 품 목 | 2021년 (제12기 3분기) |
2020년 (제11기) |
2019년 (제10기)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제품 매출 |
Trocar | 수 출 | 1,005,137 | 7.56% | 800,460 | 5.30% | 2,066,792 | 12.73% |
내 수 | 3,564,946 | 26.80% | 5,119,340 | 33.91% | 5,973,581 | 36.81% | ||
소 계 | 4,570,083 | 34.36% | 5,919,800 | 39.21% | 8,040,373 | 49.54% | ||
Lap Bag |
수 출 | 140,254 | 1.05% | 167,494 | 1.11% | 253,608 | 1.56% | |
내 수 | 2,803,645 | 21.08% | 3,540,469 | 23.45% | 4,170,469 | 25.70% | ||
소 계 | 2,943,899 | 22.13% | 3,707,963 | 24.56% | 4,424,077 | 27.26% | ||
Lap Loop |
수 출 | 6,092 | 0.05% | 8,701 | 0.06% | 5,229 | 0.03% | |
내 수 | 841,865 | 6.33% | 1,030,960 | 6.83% | 1,102,083 | 6.79% | ||
소 계 | 847,957 | 6.38% | 1,039,661 | 6.89% | 1,107,312 | 6.82% | ||
기타 매출 |
기타 | 수 출 | 1,667,868 | 12.54% | 1,260,156 | 8.35% | 1,196,711 | 7.37% |
내 수 | 3,270,021 | 24.59% | 3,170,036 | 21.00% | 1,461,475 | 9.00% | ||
소 계 | 4,937,889 | 37.13% | 4,430,192 | 29.34% | 2,658,186 | 16.38% | ||
합 계 | 수 출 | 2,819,351 | 21.20% | 2,236,811 | 14.82% | 3,522,340 | 21.70% | |
내 수 | 10,480,477 | 78.80% | 12,860,807 | 85.18% | 12,707,608 | 78.30% | ||
합 계 | 13,299,828 | 100.00% | 15,097,618 | 100.00% | 16,229,948 | 100.00% |
(*) 연결실적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1) 복강경 수술 시장의 특성
복강경 수술 시장은 전통적인 외과 수술 방법인 기존의 개복수술을 대체하여 활용되고 있습니다. 개복수술은 수 백년전부터 시행된 수술 방법이기 때문에 시술자의 입장에서는 술기가 확립되어 있고, 복강 내 시야 확보가 용이하며, 장기간 축적된 수술 성적이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지만, 환자 입장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복강경 수술과 비교하여 그 장단점이 대비되는데, 최근에는 수술 후 통증, 흉터 유무 및 크기, 생활 복귀기간 등을 고려했을 때, 복강경 수술에 대하여 시술자와 환자 모두 선호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의 비교] |
구분 | 단일공 복강경 수술 | 복강경 수술 | 개복 수술 |
수술 후 흉터 | 안보이는 1개의 흉터 | 0.5~1cm 가량 3~4개 | 10~15cm의 눈에 띄는 흉터 |
수술 후 통증 | 매우 적음 | 매우 적음 | 1일정도. 심함 |
입원기간 | 1~2일(빠른 회복) | 1~2일(빠른 회복) | 최소 3~7일 |
수술 후 생활 복귀기간 | 약 1~3일 | 약 1~3일 | 약 6~8주 |
합병증(출혈, 유착, 감염 등) | 적음 | 적음 | 많음 |
이러한 수술의 특징으로 봤을 때, 복강경 수술은 개복 수술을 대체해나가고 있으며 술기의 발전에 따라 싱글포트로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으므로 대체 시장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2) 성장성
가) 복강경 수술기구
복강경 수술 기구는 대표적으로 주요 수술기인 직선형/원형 스테이플러류가 있고, 서지컬클립과 전기수술기, 초음파수술기가 있으며 투관침과 싱글포트와 같은 보조 수술기구가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볼 때 복강경 수술은 시장은 2019년 기준 미화 96.2억달러를 달성하였으며 2024년까지 미화 약 135.5억 달러로 성장하여 연평균 성장률 7.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시장 성장률은 환자 및 외과 의사들의 복강경 수술에 대한 선호도 증가 및 노인 인구, 대장암 및 비만 환자의 증가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세계 복강경 수술 시장 규모] |
(단위 : 억 달러) |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CAGR (2019년~2024년) |
시장 규모 | 96.2 | 101.6 | 107.9 | 115.5 | 124.5 | 135.5 | 7.1% |
(자료) TechNavio
나) 품목별
복강경 수술 기구는 크게 Energy devices, Insufflators, Suction/Irrigation systmes, Laparoscopes, Hand instruements, Closure devices, Access devices 및 Accesorries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 중 트로카가 속하는 분야는Access devices로서 4억 1천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2021년 5억 6천만 달러까지 매년 6%에 이르는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품목별 복강경 수술기구 시장 규모, 2014-2021] |
(단위 : 백만 달러) |
제품 | 2014 | 2015 | 2016 | 2021 | CAGR (2016-2021) |
Energy Devices | 1,262.6 | 1,526.7 | 1,674.7 | 2,779.8 | 10.7% |
Insufflators | 1,501.4 | 1,260.0 | 1,370.2 | 2,184.1 | 9.8% |
Suction / Irrigation Systems | 954.1 | 1,138.7 | 1,233.2 | 1,927.2 | 9.3% |
Laparoscopes | 900.7 | 1,068.1 | 1,149.5 | 1,740.3 | 8.6% |
Hand Instruments | 634.9 | 747.8 | 799.3 | 1,168.0 | 7.9% |
Closure Devices | 535.2 | 625.1 | 662.3 | 922.7 | 6.9% |
Access Devices | 342.9 | 397.9 | 418.7 | 560.6 | 6.0% |
Accessories | 251.6 | 290.7 | 304.5 | 397.1 | 5.5% |
전체 | 5,933.3 | 7,055.0 | 7,612.4 | 11,679.8 | 8.9% |
(자료) World Association of Laparoscopic Surgeons, Society of Laparoendoscopic Surgeons (SLS)등 |
다) 국내
국내 복강경 수술기 보조 제품(트로카, 싱글포트 등) 생산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지만 수출은 저조하고 수입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수입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지만 그 중에 시술기구 시장은 5.3%에 해당하여 시장 규모가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복강경 수술 시장은 해마다 40%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인구의 노령화와 최소한의 수술요구의 증가로 인해 복강경 수술 및 최소 절개의 수술은 앞으로도 더 많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러한 수술에 사용되는 복강경수술 기구의 수요 및 시장도 이와 더불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복강경 수술 시장이 크게 성장함으로 인해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투관침 시장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 치료 수술용 기구 및 기기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억원, %)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CAGR (2016년~2021년) |
국내시장 | 3,572 | 3,751 | 3,938 | 4,135 | 4,342 | 4,559 | 5.0% |
(자료)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의료기기 생산실적, 의료기기 품목시장 리포트
라) 해외
해외 지역별로 복강경 시장의 성장 전망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으로 북미(33.8), 유럽(30.3%), 아시아 -태평양(28.0%) 및 기타 세계 시장(7.9%) 순으로 시장 점유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시장은 2016년 25억 7천만 달러에서 2021년까지 39억 8천만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역별 복강경 검사기구 시장 규모, 2014-2021] |
(단위 : 백만 달러) |
지역 | 2014 | 2015 | 2016 | 2021 | CAGR (2016-2021) |
북미 | 1,997.9 | 2,380.4 | 2,573.6 | 3,984.9 | 9.1% |
유럽 | 1,820.8 | 2,151.4 | 2,306.5 | 3,425.4 | 8.2% |
아시아-태평양 | 1,626.8 | 1,956.0 | 2,134.0 | 3,457.7 | 10.2% |
기타 | 487.8 | 567.2 | 598.3 | 811.8 | 6.3% |
전체 | 5,933.3 | 7,055.0 | 7,612.4 | 11,679.8 | 8.9% |
(자료) World Association of Laparoscopic Surgeons, Society of Laparoendoscopic Surgeons (SLS)등
북미 시장의 이러한 성장세는 개복 수술에 비하여 복강경 수술 사례의 증가세, 지역 내 기업들에 의한 복강경 수술 장비의 기술적 발전에 기인합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동일 기간 동안 10.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복강경수술의 주요 대상인 노령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일본 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아시아 주요국가의 동일 상황의 진행가속, 중국의 복강경 시장과 그 적용 범위의 빠른 확산 및 인도 내 사회적 인프라의 증가와 같은 요소들이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높은 성장률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복강경 수술이란 개복수술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지만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최소침습 수술방법이며 그 적용증이 확대되고 있어 외과, 내과, 산부인과, 비뇨기과, 대장항문과 등,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하는 모든 과에서 수술횟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생산하는 복강경 수술 기구의 경우, 법적으로 일회용으로만 허가된 제품이므로 수술 시에 한 환자에게만 사용하고 즉시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술 건별로 지속적인 수요를 나타내며 현재도 그 수요는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을 요하는 병증은 전염병과 같이 계절 및 기후에 따라 발생횟수가 다른 증상이 아니라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발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수술을 반드시 요하는 중증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경기변동과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수요 변동은 없습니다.
복강경 수술이 일반화되면서 최소 침습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져 단일공 복강경 수술도 많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단일공 복강경 수술은 배꼽을 절개하고 복강경 수술기구가 들어가기 때문에 수술 후 창흔이 최소화될 수 있어 수술에 따르는 감염의 위험성도 상대적으로 적고 통증 부위가 줄고 수술 후에 눈에 띄는 흉터가 거의 없어 환자가 크게 선호하는 추세 입니다. 당사의 제품군 중 LapSingle 및 LapSingle Plus 제품의 경우 단일공 복강경에서 포트로 활용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수요가 늘어나고 시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복강경 수술 기구에 대해서는 라이프 사이클상 성장기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기술의 차이, 용도 및 활용 방법에 따라 단계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첨단 의료기술인 로봇 수술기기가 도입되어 그 적용이 가파르게 늘고 있는 상황에서, 로봇 수술에 싱글포트가 활용되면서 싱글포트의 수요는 세계적으로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가) 국내
복강경 수술이 집중되어 있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꾸준한 강세를 보이는 J&J와 Medtronic, 당사 제품이 시장을 크게 삼분하여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타 국내업체들의 경우, 그 업체 수가 20여개 업체에 달하나 전체 시장의 10%에 못 미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의료기기의 특성상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하여 신규 참여 업체의 경우 진입 자체가 매우 어렵습니다.
나)해외
복강경 수술 장비는 그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고, 개복 수술에 비하여 복강경 수술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2016년 기준 전세계적으로 76억 1천만 달러에 이르는 커다란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 장비 시장에는 여러 개의 크고 작은 기업들이 존재하며, 급변하는 기술, 변화하는 고객 니즈, 진화하는 산업 스탠다드로 인해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게 나타납니다. 경쟁에서 우위를 점유하기 위해, 각 기업들은 연구 개발을 통해 신제품 출시 및 사업 확장 등의 활동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으며, 스타트업들의 인수 합병 및 타 경쟁사들과의 협업 또한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복강경 업체들의 주요 전략] |
구분 | 신제품 출시 | 사업 확장 | 파트너쉽, 조인트 벤처 등 | 합병 | 기타 |
비율 | 41.7% | 21.7% | 18.3% | 15.0% | 3.3% |
(자료) 언론보도, MarketsandMarkets Analysis |
복강경 장비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활동으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신제품의 출시(41.7%)입니다. 차순으로 사업 확장, 협업, 기업 인수 합병과 같은 기업 활동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변화에 따라 제품의 다변화 및 신규제품 개발을 꾀하고 있으며, 영업부분은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 대리점 및 의료기기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전략적으로 시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가) 기술 수준
당사는 국내의 트로카, 백 등 복강경수술용 의료기기 제조 회사 중 가장 오랜 역사와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국내외 사용자들(의사)로부터 받은 조언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제품을 개선하고 니즈를 반영해 왔습니다. 현재 당사의 제품들은 국내의 경쟁사들이 아닌, 해외 글로벌 기업의 제품들과 동등한 품질의 Gas Sealing 기술 수준을 갖추고 있습니다.
나) 생산 방식
당사는 2012년부터 국내의 경쟁사들과는 차별화 된 원스톱 생산방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설계, 금형을 직접하고 있으며 조립과 멸균을 사내에서 진행하는 것은 매우 큰 경쟁력이 됩니다. 시장의 니즈와 상황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든 생산과 품질관리를 일괄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 Sales Network
국내의 경우, 60개의 대리점이 전국을 지역별로 혹은 아이템별로 나누어 촘촘한 판매망을 이루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 36 개국에 각 파트너사들과 Sales Network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6) 신규사업
(가) 골다공증 진단사업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골격계 질환을 말합니다. 사회의 고령화가 심해짐에 따라 노화로 인한 비타민D의 감소로 인해 골다공증 환자의 수는 2016년 기준 85만명을 돌파하였고 이들의 요양급여비용총액은 1,032억원을 넘어서는 등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자료)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당사가 개발한 진단키트는 신규 바이오마커 S1P를 이용한 키트로 두 가지 형식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첫째는 중대형 병원에서 대량의 검체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효소결합면역흡착 방식)로 96 well-plate를 이용하여 수 십명의 검체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이며, 두 번째 방식은 POCT(Point-Of Care Testing, 현장진단검사)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S1P를 이용한 골다공증성 골절 진단 측정 키트는 현재의 골밀도를 기반으로 골절 치료제를 처방하는 부정확한 방식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진단키트로 골절 치료를 진행함으로써 높은 진단능으로 정확한 진단을 가능케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기 그래프와 같이 S1P진단을 추가했을 경우 기존 FRAX 대비 약 30% 성능이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진단키트는 2020년 5월 식약청 인허가 완료후 2021년 현재 신의료기술 신청중에 있습니다.
(2) 생체전자의약품 전용 Trocar 개발
최근 몸의 여러 기관을 보조하기 위한 생체 삽입용 전자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당사는 현재 해외 유수의 업체의 요청으로 인해 생체전자의약품의 인체 내 삽입을 위한 전용 Trocar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생체전자의약품은 우리 몸의 신경을 통과해 다양한 질환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자극을 변형시키는 소형 이식 장치로 생물학과 공학의 최신 기술을 활용한 신개념의 의료기기로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3) 마이크로니들
마이크로니들은 피부의 각질층을 통과하여 피내로 유효 성분을 전달하기 위해 수백 마이크로미터 길이 이내의 미세바늘을 활용하는 경피 약물 시스템(TTDS)으로 주로 중추신경계 장애, 호르몬장애, 만성 질환과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일반 주사에 비해 투여부위의 회복이 빠르며 투여의 용이성, 고통 없이 약물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피약물 전달 시스템의 2020년도 세계 시장규모는 81억 달러로, 연평균 4.26% 성장해 2026년에는 104억 달러에 이를것으로 전망되며 당사는 현재 사내 TFT를 구성하여 사업성, 시장 및 기술 조사, 분석중에 있습니다.
[지역별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 규모, 2015-2026] |
(단위 : 백만 달러) |
지역 | 2015 | 2020 | 2026 | CAGR (2020-2026) |
북미 | 2,924.43 | 3,282.53 | 4,178.55 | 4.10% |
유럽 | 1,993.72 | 2,219.21 | 2,719.27 | 3.44% |
중국 | 606.63 | 825.23 | 1,269.08 | 7.44% |
일본 | 768.97 | 837.79 | 985.78 | 2.75% |
한국 | 70.55 | 78.82 | 96.85 | 3.49% |
기타 | 755.20 | 863.12 | 1,164.39 | 5.12% |
합계 | 7,119.50 | 8,106.70 | 10,413.92 | 4.26% |
(자료) QYResearch, 2020, 산업통상자원부
▣ 관련동영상
▣ 증권사 리포트
최근3개월 이내에 제시된 의견이 없습니다
▣ 오늘의 기업 분석 결론
회사는 정말로 작은 기업입니다. 1년 매출이 150억원 내외 하는 기업입니다.
영업이익이 꾸준하다가 2020년에 적자가 나고 올해도 적자가 예상됩니다.
부채비율이 낮고 유보율이 좋지만 올해도 적자가 예상되어 단타같은 재료 소재 있을경우만
능력 있는분들은 매매를 하시고 저희같은 초보는 그냥 보고만 있을면 좋을 듯합니다. ~^^
차트가 저가 비해 현재는 고가 인 상태라서 잘못 들어 갔다가 못나올수도 있습니다. ㅜㅜ..
끝으로 맺음말
주식 투자는 하루하루 주가 변동성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오직 기업과 동업한다는 마음으로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기업분석은 필수입니다.
또한 기업을 이끄는 오너와 임직원에 대한 능력도 봐야 합니다.
옛날 대기업 1세대들은 힘든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오늘에 한국 경제를 만들었습니다.
처음부터 준비되어서 기업을 이끈 사람들은 없습니다.
사실 도전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회사는 성장하고 국민을 고용하고 세금을 내면서 나라에 이바지하게 됩니다.
이것이 기업에 최고의 복지이며 그것이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그러기에 어떤 환란이 와도 기업은 살아야 합니다. 그래야 고용도 하고 세금도 낼 수 있습니다.
요즘 들어 점점 흙수저가 금수저 되기 힘들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 않습니다.
노력하고 극복하겠다고 도전하는 사람만이 금수저가 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힘듭니다.
주식투자도 사자마자 떨어지고 어떨 때는 -30%까지 떨어질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 기업분석이 끝난 사람이라면 이것이 외부적인 요인인지 내부적인 요인인지 트렌드가 변한 건지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뚝심 있게 투자를 할 수 있기도 하고 아니면 손절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순간순간 변동성에 의지하면서 투자를 할지 아니면 기업과 동업을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선택은 여러분이 책임을 져야 하고 그에 따른 보상!! 혹은 손해를 지셔야 합니다.
오늘도 꼭 기업과 동업하는 투자자가 되시고
여러분은 일상생활을 열심히 하다 보면 시간이 지나고 나면
투자한 돈이 여러분을 보호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
'주식아빠의 심층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컴MDS 기업분석 주가 전망 (회사코드: 086960) 코스닥 (0) | 2021.12.31 |
---|---|
에이스테크 기업분석 주가 전망 (회사코드: 088800) 코스닥 (0) | 2021.12.28 |
세종메디칼 기업분석 주가 전망 (회사코드: 258830) 코스닥 (0) | 2021.12.27 |
릭스솔루션 기업분석 주가 전망 (회사코드: 029480 ) 코스닥 (0) | 2021.12.24 |
얍엑스 기업분석 주가 전망 (회사코드: 060230) 코스닥 (0) | 2021.12.22 |
네오위즈홀딩스 기업분석 주가 전망 (회사코드: 042420) 코스닥 (0) | 2021.12.22 |
댓글0